판스프링이 무슨 죄, 메뉴얼 조차 없는 후진국형 화물 적재가 주범
대한민국 교통안전은 예전과 달리 많은 발전을 이루어 선진형으로 탈바꿈하기 시작했다. 물론 아직 OECD 국가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와 교통사고 등은 순위가 낮은 측에 속하지만 그래도 예전과 비교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도 연간 4000명대에서 최근 2000명 대로 감소했다.
아직 사각지대는 남아있다. 강화된 음주운전도 반복적인 재범자가 많기도 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가중 처벌조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는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전동킥보드 문제도 지난 3년간 제대로 조치를 못해 아직도 법규 하나 못 만들고 있는 것을 보면 아직은 선진국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
최근 또 하나 후진적인 시스템으로 국민들이 고통과 공포감이 있는 사항이 있다. 바로 화물차에 사용하는 판스프링이다. 판스프링은 화물차 후륜 진동을 잡아주는 현가장치 부품으로 적재함 옆 지지대로 사용하다 도로에 떨어져 흉기가 되고 이다.
바닥에 떨어진 판스프링이 다른 차량에 튕기면서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도 여러 번 있었다. 화물차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은 판스프링 뿐만 아니라 다른 쇠붙이도 많고 심지어 적재함 물품도 있다. 낙하물 사고가 연간 수천 건에 달하지만 가해자를 찾기도 쉽지 않다.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낙하물 사고와 이로 인한 사망자 발생 등 사회적 후유증이 큼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않고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경찰청 등 관련 기관에서 전국 현장 단속을 진행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실효성 측면에서 회의적인 부분이 많다.
그 많은 낙하물 중 판스프링만을 단속하는 것도 우습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놔두고 겉 치례에 불과한 절차만 진행한다는 느낌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낙하물 사고로 인한 교통사고는 판스프링만의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같은 사고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
현재로서는 지금과 같이 화물차 적재함 높이를 지지하는 다른 쇠붙이 물건을 사용할 것이고 그때 가서 다시 해당 물품을 단속하는 어이없는 과정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야 할 때다.
우선 낙하물 사고를 근본적인 해결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낙하물이 떨어지면 당연히 사고는 누군가 발생하고 인명사고도 발생한다. 따라서 낙하물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가 필요하다. 일본 등 선진국은 화물차 적재함에서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우리와 같이 적재 벽을 높이고 끈으로 묶는 형태가 아니라 아예 폐쇄된 컨테이너 박스 형태로 운송해야 한다.
이삿짐도 그렇고 모래나 자갈 등도 당연히 폐쇄된 적재함에 넣어야 한다. 외부로 떨어질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지 않는다. 도로에서 화물차를 두렵게 바라볼 이유를 남겨 두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화물차는 아예 간격을 두거나 추월해 가능한 한 멀리 두려고 한다. 낙하물에 대한 공포감이 커서다.
선진국은 또 화물 운수회사는 별도로 화물 적재를 위한 매뉴얼을 갖추고 있다. 초보 운전자는 철저한 안전교육과 함께 적재 화물에 따른 안전한 적재 요령을 배운다. 철저한 사전 교육과 매뉴얼로 낙하물 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특수한 물품이나 위험한 화물은 앞뒤에 호위 차량이 따라붙어 혹시 있을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우리는 화물 적재에 대한 기본 교육은 물론이고 모래나 자갈 등이 뒤따르는 차량에 피해를 주는 일도 다반사다. 다른 운전자가 조심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근본적인 문제는 놔두고 떨어지는 낙하물만 쳐다보고 단속만 해서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보는 이유다.
따라서 화물 종사자는 매뉴얼을 통해 규정된 적재 요령을 따르고 안전 교육을 받도록 의무화하는 등 규정이 필요하다. 운전자가 조심해야 할 것도 있지만 화물차 판스프링을 단속하기에 앞서 더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고 해결할 수 있는 일에 고민하는 정부가 됐으면 한다. 판스프링 문제가 아니고 화물차 적재 방법에 근본 문제가 있다는 것을 말이다.
김필수 교수/webmas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뜬금없이 쏘나타와 스타렉스 수소차 개발중? 이유는 따로있다!조회수 971 2021-01-14 다키포스트
-
아이오닉 5 디자인 100% 예측, 티저 이미지로 살펴본 예상도조회수 1,497 2021-01-14 다키포스트
-
제네시스 GV80, 유해물질 톨루엔 검사 대상 중 유일 기준치 초과조회수 1,286 2021-01-14 오토헤럴드
-
테슬라 모델 Y 국내 공개 첫날, 입장 대기 5시간 뜨거운 관심조회수 475 2021-01-14 오토헤럴드
-
레몬법 1호, 국토부 메르세데스 벤츠 ISG 시동 결함차 교환 명령조회수 608 2021-01-14 오토헤럴드
-
벨로다인 라이다, 지능형 교통시스템 성능 향상조회수 277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2021 CES - 캐딜락, 33인치 차세대 디스플레이 공개조회수 482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2021 CES 5신 - 삼성의 디지털 콕핏, 생활공간이 되다조회수 360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2021 CES 6신 - GM, 상용차 포함 전 차종에 EV 라인업한다조회수 319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스파이샷] 폭스바겐 폴로 F/L조회수 325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스파이샷] 렉서스 NX조회수 282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다크호스 #8] BMW 2세대 4시리즈 쿠페, 그릴만 보면 역대급 존재감조회수 743 2021-01-14 오토헤럴드
-
중국, 고속도로 자율주행테스트 허용 계획조회수 214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무쏘로 달리는 쌍용차 렉스턴 스포츠, 英 가장 뛰어난 픽업트럭 수상조회수 462 2021-01-14 오토헤럴드
-
컨셉을 잡기는 잡았는데... GV70을 보면 아쉬운 기분이...조회수 957 2021-01-14 다키포스트
-
기아차 e-니로, 영국 왓 카 어워즈 소형 전기차 부문 본상 수상조회수 219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현대차, 더 뉴 코나 2.0 가솔린 모델 출시 (1)조회수 1,457 2021-01-14 글로벌오토뉴스
-
아반떼 VS 제타 비교시승...국민차 위협하는 수입차! 출시와 동시에 품절된 제타의 매력은?!조회수 326 2021-01-14 Motorgraph
-
[다크호스 #7] 쌍용차 코란도 e 모션 절박한 위기 끝낼 역사적 사명조회수 332 2021-01-14 오토헤럴드
-
폭스바겐 파사트 GT, 쏘나타, 그랜저 대신 살만한가?조회수 346 2021-01-14 카랩
또한 화물적재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이 필요하시다고 하시는데, 사실상 선진국의 경우 우리나라 포터/봉고 처럼 적재함이 노출된 경우가 거의 없고, 윙타입 등을 사용하는데 이또한 그 나라의 사정에 따라 다른겁니다.
이미 수많은 포터/봉고가 돌아다니고 있으며, 무엇보다 서민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차량이라 안전규정조차 지키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허가 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소한의 충격완화도 안 되는걸 정부가 모르는게 아닙니다. 모두가 알죠. 하지만 현실적으로 힘들다는 말입니다. 다마스도 단종수순 밟고 있죠. 여기에 대한 저항도 꽤나 있었습니다.
근데 포터/봉고가 선진국형태의 화물적재기준을 맞추기 위해 단종되고 새로운 모델이 나오고 윙타입 등 덮개가 필수로 생기게 된다? 글쎄요. 이걸 감당할 정부가 있을지 의문이네요.
적재방법에 대한 교육은 필요하다는데에는 공감하지만 좀 탁상공론같네요
뉴스만 봐도 직접 시연까지 해줍니다. 이렇게 쓰면 "안전하게" "기존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요.
즉, 이상하거나 또 다른 위험을 야기 할 다른 쇠붙이를 사용하게 되는게 아니란 말입니다. 정말 답답한 소리하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