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쉬, 전자식 에어백 제어장치 출시 40년 맞아

충돌, 굉음,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하는 것이 에어백의 이점을 설명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다.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에어백 제어 장치이다. 그것은 구명 풍선 쿠션의 제어 센터로 기능한다. 40 년 전, Bosch는 다임러벤츠와 공동으로 세계 최초의 전자식 에어백 제어 장치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승객 보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80 년 12 월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한 이래 보쉬는 2 억 5,000만개 이상의 에어백 제어 장치를 제조하면서 끊임없이 기술을 개선해왔다. 이 회사의 사고 연구원들은 보쉬의 에어백 제어 장치가 출시 된 이후로 이들이 배치 한 전면, 측면 및 헤드 에어백이 전 세계에서 약 9 만 명의 생명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추정한다. 이는 도로 교통에서 사망이나 심각한 부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전 제로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됩니다.
내부 및 외부 가속도, 요 속도 및 압력 센서를 사용하는 최첨단 에어백 제어 장치는 사고 유형과 심각도를 식별하고 필요에 따라 에어백과 벨트 텐셔너를 배치한다. 단 10 밀리 초 만에 – 사람이 눈을 깜빡이는 것보다 10 배 더 빠른 – 트리거 알고리즘은 센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운전자가 단순히 브레이크를 밟았는지, 주차 된 차량에 부딪혔는지, 연석을 뛰어 넘었는지 또는 차량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지 확인한다.
충돌하거나 전복될 위험이 있는 상황이 위험한 경우 시스템은 불꽃 가스 발생기를 점화한다. 30 밀리 초 이내에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되어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오늘날의 차량에는 사고 시나리오에 따라 개별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최대 9 개의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다. 충돌 후 시스템은 연료 공급을 차단하거나 전기 자동차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를 분리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또한 시스템은 사고에 대한 정보를 다른 차량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eCall은 에어백이 전개된 후 자동으로 긴급 서비스를 호출한다.
1977 년부터 보쉬는 완성차업체와 함께 최초의 전자식 에어백 제어 장치를 개발하여 60 대의 차량 모델에서 6,000 회 이상의 충돌 테스트를 거쳤다. 오늘날 차량 모델의 대규모 생산을 위해 에어백 제어 장치를 준비하려면 180 만 개 이상의 충돌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
1980 년 12 월에 생산에 들어가 메르세데스-벤츠 S- 클래스로 시장에 출시된 첫 번째 에어백 시스템은 전압 변환기, 에너지 예비 및 제어 장치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구성되어 총 170 개 부품이 있다. 이들은 운전자와 선택적으로 조수석을 위해 에어백과 벨트텐셔너만 제어했다.
오늘날의 12 세대 에어백 제어장치는 부품 수가 절반에 불과하며 다양한 전면 및 측면 에어백, 무릎 에어백 및 벨트 텐셔너를 포함하여 최대 48 개의 구속 장치를 관리 할 수 있다. 에어백 제어 장치 및 자율 주행 미래에는 차량의 센서 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집된 정보를 적용하면 에어백, 벨트텐셔너 및 기타 차량 기능이 더 잘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시스템은 임박한 사고를 신속하게 인식하고 예를 들어 실제 충돌 전에 부상 위험을 줄이는 탑승자를 자동으로 앉은 자세로 전환한다. 에어백과 벨트 텐셔너를 배치하여 차량의 모든 사람에게 최상의 충돌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점점 더 자동화된 운전은 이러한 가능성이 관련이 있는 영역 중 하나다. 높은 수준에서는 운전자에게도 완전히 새로운 인테리어 컨셉과 더 많은 이동 공간이 열리기 때문이다. 좌석을 회전하거나, 승객을 향하거나,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차량의 좌석 배치가 더욱 유연해짐에 따라 에어백과 벨트텐셔너를 매우 구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보쉬가 현재 작업중인 에어백 제어장치에 대한 요구 사항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다나와나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신 후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신의 손조회수 465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폭스바겐코리아, 상품성 강화한 2021년형 제타 공식 사전계약 실시조회수 2,640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어쩌다가 K3랑 비교를.. 역대 최악의 벤츠, 신형 E 클래스조회수 1,342 2021-01-15 다키포스트
-
르노, 2025년까지 플랫폼 공유 늘리고 C세그먼트 라인업 확대한다.조회수 344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폭설에 상처만 남은 애차 '하부세차' 필수...와이퍼와 타이어 점검도조회수 1,216 2021-01-15 오토헤럴드
-
2021 CES 7신 - BMW 차세대 i드라이브 공개조회수 429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혼다 어코드 · 폭스바겐 티구안 등 수입 5개 차종 1만4217대 리콜조회수 421 2021-01-15 오토헤럴드
-
[다크호스 #9] 현대차 독기 품은 스타렉스 아닌 스타리아, 승합차 아닌 MPV조회수 1,717 2021-01-15 오토헤럴드
-
[스파이샷] 스바루 아웃백조회수 334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스파이샷] BMW X4 F/L조회수 311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르노, 복고풍 디자인 '5 프로토타입' 공개… 2025년까지 전기차 7종 출시조회수 339 2021-01-15 오토헤럴드
-
[EV 트렌드] 아이폰 만드는 '폭스콘'의 전기차 진출 '지리차'와 합작사 설립조회수 185 2021-01-15 오토헤럴드
-
BMW M, 2020년 역대 최대 실적 기록조회수 783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김흥식 칼럼] 방심한 토요타, 전기차 확전에 자동차 판세 대전환조회수 309 2021-01-15 오토헤럴드
-
BMW, 아이폰용 디지털키 플러스 iX통해 처음 공개한다.조회수 188 2021-01-15 글로벌오토뉴스
-
GM이 공개한 얼티엄 BEV 3종 세트 '강력하거나 럭셔리하거나'조회수 343 2021-01-15 오토헤럴드
-
뜬금없이 쏘나타와 스타렉스 수소차 개발중? 이유는 따로있다!조회수 1,018 2021-01-14 다키포스트
-
아이오닉 5 디자인 100% 예측, 티저 이미지로 살펴본 예상도조회수 1,570 2021-01-14 다키포스트
-
제네시스 GV80, 유해물질 톨루엔 검사 대상 중 유일 기준치 초과 (1)조회수 1,332 2021-01-14 오토헤럴드
-
테슬라 모델 Y 국내 공개 첫날, 입장 대기 5시간 뜨거운 관심조회수 508 2021-01-14 오토헤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