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콜콜] 전기차 화재, 주행거리 경쟁이 부른 배터리 오용 참사
배터리 용량 54.5kWh, 전기차 연비를 말하는 전비 4.8km/kWh로 가득 충전하면 최대 309km를 달릴 수 있는 르노 조에는 현대차 코나(64kWh/409km)보다 배터리 용량이 적고 주행거리는 100km 남짓 짧다. 조에 배터리 실 가용 용량은 52kWh, 표시된 주행 가능 거리도 여기에 맞춰놨다.
가득 충전 후 달릴 수 있는 거리로 보면 조에는 서울에서 출발해 부산에 닿지 못한다. 중간에 충전해야만 도착이 가능하고 서울로 되돌아오려면 몇 번 충전을 보태야만 한다. 지난 9월 르노 조에로 서울에서 부산을 왕복했다. 총 주행 거리는 846km, 출발할 때 가득 충전했고 모두 4번 추가 충전을 했다. 왕복하는데 충전과 휴식, 식사, 업무 등을 모두 합쳐 16시간이 걸렸다.
걸린 시간, 충전 횟수로 보면 흔한 전기차 단점이 드러난다. 일반 내연기관차로 달렸다면 10시간 정도면 충분했을 거리였고 연비에 따라 다르겠지만 10분 남짓 한번 추가 주유로 해결이 됐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충전에 걸린 시간은 3시간가량이었고 대부분은 식사나 휴식, 업무 시간을 활용했기 때문에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전기차 성능이나 상품성을 '주행거리'로 판단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생각이 든 것도 이때다. 출ㆍ퇴근, 일상적 용도로는 더더욱 그렇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일평균 주행 거리는 38.5km다. 주행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르노 조에도 주중 추가 충전이 필요 없는 거리다. 충전소가 있거나 자투리 시간에 충전하면 일상적 용도 그리고 장거리 주행을 해도 부족하지 않다.
그런데도 전기차를 만드는 제조사들은 '충전거리' 경쟁을 펼친다. 주행 거리가 길면 충전에 따른 불편이 줄어드는 것은 맞다. 그러나 전기차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하는 상황에서 배터리 용량으로 주행거리를 늘리면 찻값이 오르게 된다. 지금도 부담스럽고 앞으로도 당분간은 배터리 가격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전기차 주행거리 경쟁은 부담을 키워 대중화를 막는다.
요즘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현대차가 연이어 화재가 발생한 코나 일렉트릭을 리콜한 데 이어 GM도 쉐보레 볼트 EV를 같은 이유로 리콜했다. 지금까지 확인됐거나 알려진 것을 요약하자면 배터리셀 제조 불량이라는 완성차 주장과 주행거리를 무리하게 늘리기 위해 '안전마진' 폭을 상대적으로 줄인 탓이라는 배터리 제조사 주장이 맞물려 공방을 벌이고 있다.
시간이 조금 지나면서 화재 원인은 배터리 제조사 주장에 힘이 쏠리고 있다. 같은 용량 배터리를 사용한 다른 전기차보다 주행거리가 길었던 코나 일렉트릭, 그러니까 주행 가능 거리를 최대한 늘리기 위해 충전 용량 한계를 높게 설정한 것이 원인이라는 얘기다. 현대차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리콜로 실 가용 배터리 용량을 낮춘 것, GM이 배터리 충전을 전체 충전 용량 90%로 제한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업그레이드하는 리콜을 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의심을 가능하게 한다.
르노 조에, 닛산 리프,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도 실 가용 배터리 용량을 낮춰 충전하게 만들어 놨다. 배터리 특성상 과열에 따른 문제 발생 소지가 많다고 보고 실제 배터리 용량 100% 충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최소 안전마진 8~12%를 유지하도록 했다. 원인에 대한 논란이 물론 있고 이런 차들도 화재는 발생했다. 그러나 코나 일렉트릭 화재는 유독 빈번했고 배터리 안전마진이 3%대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배터리 용량이 같은데도 코나 일렉트릭 주행가능 거리가 유독 길었던 것도 대부분 전기차가 충분한 안전마진을 제외했지만 현대차는 최대치로 계산한 결과였던 셈이다. 주행거리가 시장이나 소비자가 판단하는 전기차 성능 기준으로 보고 과욕을 부린 것이다. 소비자 역시 전기차에 대한 개념이나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 앞에서 소개한 사례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조금 불편할 수는 있어도 주행거리가 300km 이내인 전기차도 일상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다. 주행거리만 보고 고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 안전이 허용되는 최소 충전량을 초과해 값만 비싼 전기차를 피하면 된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현대차 아이오닉 5 오스트리아에서 사양 유출 '완충시 450km 달린다' (1)조회수 2,183 2020-12-24 오토헤럴드
-
2021년 기대되는 신차 톱 5 수입차편 '전기차 대중화 원년에 가세' (1)조회수 2,003 2020-12-24 오토헤럴드
-
미니, 200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디자인 변화 예고 '전동화 라인업 확장'조회수 296 2020-12-24 오토헤럴드
-
고다을 인스트럭터에게 배우는 올 뉴 디펜더 오프로드 완전정복! (듣기만 했어요)조회수 370 2020-12-24 모터피디
-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왜 이렇게 많이 팔리나? [주행편]조회수 414 2020-12-24 카랩
-
현대차 아이오닉5 사전계약 시작...주행거리 450km, 313마력, 제로백 5.2초조회수 604 2020-12-24 Motorgraph
-
[스파이샷] 포드 익스플로러 팀버라인조회수 586 2020-12-23 글로벌오토뉴스
-
SUV의 시조인 지프는 자동차의 혁신조회수 826 2020-12-23 글로벌오토뉴스
-
[스파이샷] BMW 4시리즈 그란쿠페조회수 754 2020-12-23 글로벌오토뉴스
-
미국 자동차업체들, 미 정부에 전면적인 지원 요구조회수 503 2020-12-23 글로벌오토뉴스
-
[이슈 2020 #6] 정의선 號 '전기차ㆍ자율주행ㆍUAMㆍ로봇' 싣고 출발조회수 448 2020-12-23 오토헤럴드
-
[김흥식 칼럼] 쌍용차, 예전에 그랬던 것처럼 다시 오뚝 서기를 기대하며조회수 717 2020-12-23 오토헤럴드
-
르노삼성자동차 더 뉴 SM6, 재구매 고객 비율 높아조회수 497 2020-12-23 글로벌오토뉴스
-
잘 나가는 포드 2020~21년형 익스플로러 · 링컨 에비에이터 美서 리콜조회수 837 2020-12-23 오토헤럴드
-
2021 북미 올해의 SUV 최종후보에 제네시스 GV80 선정조회수 1,018 2020-12-23 글로벌오토뉴스
-
애플, 2024년 목표로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중조회수 789 2020-12-23 글로벌오토뉴스
-
[영상시승] 이것이 갓성비, 폭스바겐 제타 1.4 TSI조회수 1,285 2020-12-22 글로벌오토뉴스
-
2020년 1~9월 전세계 수소차 판매 순위에서 현대차 압도적 1위 지속조회수 1,005 2020-12-22 글로벌오토뉴스
-
포르쉐, 3D 프린터로 전기 드라이브 하우징 생산조회수 417 2020-12-22 글로벌오토뉴스
-
메르세데스 벤츠, 2021년 1월 7일, 대형 곡면 스크린 MBUX 하이퍼 스크린 공개조회수 623 2020-12-22 글로벌오토뉴스